문서 보기이전 판역링크맨 위로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성주리 가루고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심전면 심동리 可也川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5리 可也川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5리 可也川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5리, 24호 남35구 여49구 角羊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角羊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看入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看入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看入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看入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49호 남113구 여140구 看入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0리 看入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看入里(간드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艮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艮峙市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장시) 현 남쪽 30리, 1,6일 장이 섬 艮峙市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장시) 현 남쪽 30리, 1,6일 장이 섬 艮峙市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남30리 艮峙市(간장)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시장명, 남포군 습의면 심동 艮峙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현명, 남포군 습의면 농암리 渴馬峙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渴庶峴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渴庶峴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渴庶峴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渴庶峴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渴庶峴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渴庶峴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葛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비인, 남40리 介也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介也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20리 介也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客舘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궁실) 客舘(신증)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궁실) <생략> 客舍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9칸 客舍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客舍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읍성내 客舍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客舍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客舍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客舍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客舍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居大島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巨門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巨勿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30리 巨勿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0리 巨勿於之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0리 巨勿於之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0리, 36호, 남61구, 여62구 巨勿於之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5리 巨次島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남쪽 33리 巨次島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남쪽 33리 巨次羅 靑邱圖<3책>(191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巨次羅 靑邱圖(乾14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巨次羅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섬 巨次羅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巨次羅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巨次羅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巨次羅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巨次羅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巨次羅 靑邱要覽<乾>(191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巨次羅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巨次羅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巨次羅島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巨次羅島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巨次羅島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巨次羅島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쪽 바다에 있다. 巨次羅島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 중 巨次羅島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에 있다. 巨次羅島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남 33리 巨次羅島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서남쪽 30리 巨次羅島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해 속 巨火羅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古藍浦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금치 남 15리, 옛현터가 있다. 古藍浦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지금 치소 남쪽 15리로 지금은 고현의 남은터가 있다. 古藍浦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지금 치소 남쪽 15리로 지금은 고현의 남은터가 있다. 古藍浦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지금 치소 남쪽 15리로 지금은 고현의 남은터가 있다. 古藍浦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지금 치소 남쪽 15리에 있는데 옛현의 터가 있다. 古藍浦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지금 치소 남쪽 15리인데 옛현의 터가 있다. 古藍浦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고적명소명, 남포군 고읍면, 군 남쪽 15리, 옛현의 남은터로 지금은 없음, 연도 기록 없음 古藍浦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지금 치소 남쪽 15리에 남은터가 있다. 古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古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古里頭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古里頭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6리 古里頭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6리 古里頭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6리, 27호 남38구 여21구 古也谷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古也谷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古也谷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古也谷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古也谷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12호 남17구 여12구 古也谷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古也里(고야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孤雲碑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孤雲碑 大東方輿全圖(150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孤雲碑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孤雲碑 大東輿地圖(15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孤雲碑 東輿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孤雲碑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孤雲碑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孤雲碑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古邑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동남쪽으로 초10리, 종20리 古邑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古邑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古邑基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基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基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古邑基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基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基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려 때 읍을 옮김 古邑面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古邑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古邑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古邑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古邑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古邑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古邑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古邑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古邑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富近堂里 坪里 城洞 大川里 防築里 熊川面 古邑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富近堂里 坪里 城洞 大川里 防築里 古邑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富近堂里 坪里 城洞里 大川里 防築里 古邑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富近堂里 坪里 城洞里 大川里 防築里 古邑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富近堂里 坪里 城洞里 大川里 防築里 古邑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古邑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古邑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古邑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古邑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0리 古邑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남 초10리 종20리 古邑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수안리 부당리 평리 성동 대천리 방축리, 호357 古邑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20 古邑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20 古邑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20 古邑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20 古邑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20 古邑址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15리, 古藍浦라 한다. 谷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谷村(골말)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谷村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15리 谷村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新安面, 관문에서 15리 谷村堰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公須廳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冠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冠洞(갓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觀防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방선1척 병선1척 사후선1척 정박, 재 북면 造尺浦 冠岩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冠岩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冠巖浦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보령 廣岩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廣岩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廣岩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廣岩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廣岩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廣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17호 남31구 여45구 廣岩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廣岩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廣岩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廣巖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廣岩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廣巖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보명, 남포군 웅천면 광암리 廣巖坪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웅천면 소황 광암 소청 주교 사이 校宮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校宮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校宮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校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내면 校村(향교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校村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邑內面, 관문에서 5리 校村酒幕(향교골쥬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군내면 舊校基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舊校基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舊校基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舊校基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龍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九龍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九竜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九龍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51호 남75구 여102구 九龍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0리 九龍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九龍寺舊基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龍山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九龍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龍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龍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龍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九龍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九竜山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竜山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竜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竜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九竜山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九竜山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九竜山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龍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 5리 九龍山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九龍山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쪽 15리 九龍山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15리 진산 九龍山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15리 진산 九龍山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15리, 본현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구룡산의 주줄기가 된다. 九龍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쪽 15리에 있는데 본현 북면 聖在山에서 와서 九竜山의 주줄기가 된다. 九龍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쪽 15리에 있는데 본현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九竜山의 주줄기가 된다. 九龍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쪽 15리에 있는데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九竜山의 주줄기가 된다. 九龍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웅천면 하구리 九龍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15리 九龍山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15리,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九竜山의 주맥이 된다. 九龍山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진산 九龍山 : 진산 舊馬梁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舊馬梁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舊馬梁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舊馬梁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旧馬梁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舊馬梁基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舊馬梁基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30리, 옛 상신 이상진이 현종조에 이곳에 순찰을 와서 배가 정박하는데 불편하므로 비인으로 옮겼다. 舊馬梁鎭基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서 33리에 있는데 옛 상신 이상진이 효종 때에 순무하다가 이곳에 도착하여 배가 정박하기 불편하므로 장계를 올려비인 땅으로 옮겼다. 舊馬梁鎭基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서쪽 23리로 옛 상신 이상진이 효종 때에 초무하러 여기에 이르러 배가 정박하기 불편하므로 비인으로 옮겨 설치했다. 舊馬梁鎭基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서쪽 33리로 옛 상신 이상진이 효종 때에 순무하러 여기에 이르러 배가 정박하기 불편하므로 비인으로 옮겨 설치했다. 舊馬梁鎭基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서쪽 33리로 옛 상신 이상진이 효종 때에 순무하러 여기에 이르러 배가 정박하기 불편하므로 비인으로 옮겨 설치했다. 舊馬梁鎭基(구진)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고적명소명, 남포군 웅천면, 비인 땅에 옮겼는데 연도가 기록되지 않음 龜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九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37리 九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龜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龜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59호 남88구, 여99구 九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九山里(거부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九山里酒幕(거부몌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습의면 九山堤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折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홍산, 동50리 九折坂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折阪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折阪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九折阪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九折阪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쪽 길, 홍산 경계 九折坂 增補文獻備考<1903>상(성곽)0388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영로) 홍산 영로에도 보인다. 九折阪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 홍산계 國學大司成白文節墓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羊角山 서쪽 기슭 軍器庫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8칸 軍器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8칸, 성안에 있다. 軍器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8칸, 재 성내 軍器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8칸, 재 성내 軍器庫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8칸 軍器庫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軍入浦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북 9리로 聖住山에서 나와 북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軍入浦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보령 軍入浦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9리, 성주산 북쪽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든다. 軍餉庫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3칸 軍餉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3칸, 성안에 있다. 軍餉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3칸, 재 성내 軍餉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3칸, 재 성내 軍餉庫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3칸 金剛庵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金崗菴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동30리 金塘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金塘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金傅大王祠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玉馬山 꼭대기, 지금은 없다. 金傅大王祠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玉馬山 꼭대기, 지금은 없다. 金傅大王祠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玉馬山 꼭대기, 지금은 없다. 金傅大王祠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옥마산 꼭대기에 있는데 지금은 없다. 金傅大王祠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재 玉馬山 頂 金傅大王祠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玉馬山 꼭대기, 지금은 없다 基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金剛寺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金剛寺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金崗庵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金崗菴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羊角山에 있다. 金剛菴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金剛菴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金崗庵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金剛菴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재 羊角山 金崗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사찰명, 남포군 심전면 양각산 金崗菴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羊角山 金塘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金塘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0리 金塘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金塘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金塘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金塘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10호 남20구 여17구 金塘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金塘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金塘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金塘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33호, 남62구, 여72구 金塘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金塘里(사당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金川(쇠)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군내면 월촌 落花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창고 南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창고 南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창고 南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창고 南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창고 南里(말)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南門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문루) 南門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南門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읍성내 南門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南門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邑內面, 성 아래 南門外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南門外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南門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82호 남130구 여116구 藍田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남 30리, 불은면, 利仁 소속, 대마 2필, 기마 3필, 복마 5필, 노 45구, 비509구 藍田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남쪽 30리 불은면에 있는데 利仁 소속으로 대마 2필, 기마 3필, 복마 5필, 노 45명, 비 11명 藍田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남쪽 30리 불은면에 있는데 利仁 소속으로 人馬 2필, 기마 3필, 복마 5필, 노 45명, 비 50명 藍田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역참 藍田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역참 藍田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역참 藍田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역참 藍田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역참 藍田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藍田驛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藍田驛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藍田驛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藍田驛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남 27리 藍田驛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남쪽 30리에 있는데 利仁 소속으로 大馬 2필, 기마 3필, 복마 5필, 노 45명, 비 50명 藍田驛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참)남 27리 藍田驛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우역) 현 남 27리 藍田驛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30리 藍田驛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0리 藍田驛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7리 藍田驛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0리, 利仁 소속, 대마2필 기마3필 복마5필, 노40구 비50구 藍田驛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역명, 남포군 불은면 창촌 藍田驛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문 30리, 상등마3필 중등마3필 하등마5필 藍田驛 : 태종 계사에 설치했다. 南倉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南倉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南倉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南倉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南倉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南倉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南倉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南倉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南倉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南倉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南倉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7칸, 불은면 南倉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남 35리 南倉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17칸, 불은면 南倉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에서 20리 南倉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5리 南倉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창고 南倉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7칸, 현 남 30리 불은면 南倉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7칸, 현 남쪽 30리 불은면 南倉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7칸, 현 남쪽 30리 불은면 藍川院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남 20리 藍川院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우역) 현 남 20리 藍浦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 가 지금이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현에 옮겨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신우 때에 왜구로 인물이 사방에 흩어졌다가 공양왕 2년 비로소 진성을 두고 흩어진 것을 모았으며 본조 태조 때에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으며 세조 12년 진을 혁파하고 예에 따라 현감을 삼았다. (관원)현감 훈도 각1인, 지금은 없다. (군명)寺浦 馬山, 지금은 藍浦, 진관은 홍주. 藍浦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 가 지금이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현에 옮겨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신우 때에 왜구로 인물이 사방에 흩어졌다가 공양왕 2년비로소 진성을 두고 흩어진 것을 모았으며 본조 태조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으며 세조 12년 진을 혁파하고 예에 따라 현감을 삼았다. (관원)현감 훈도 각1인, 지금은 없다. (군명)寺浦 馬山, 지금은 藍浦, 진관은 양주. 藍浦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가 지금이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현에 옮겨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신우 때에 왜구로 인물이 사방에 흩어졌다가 공양왕 2년 비로소 진성을 두고 흩어진 것을 모았으며 본조 태조 때에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으며 세조 12년 진을 혁파하고 현감을 삼았다. (군명)寺浦 馬山, 지금은 藍浦, 진관은 홍주. 藍浦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연혁)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가 지금이름으로 고쳐서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현에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신우 때에 왜구로 사람과 문물이 사방에 흩어졌다가 공양왕 2년 비로소 진성을 두고 불러 모았으며 본조 태조 6년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고 세조 12년 진을 파하고 현감을 두었으며 관원은 현감 훈도 각1인인데 지금은 없다. (군명)寺浦 馬山 藍浦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연혁)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 경덕왕 16년 藍浦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에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본조 태조 6년 명마 겸 판현사를 두었고 세조 12년 진을 파하고 현감을 삼았다.(古邑址는 치소 남쪽 15리에 있는데 古藍浦라 부른다.)(읍호)馬山 藍浦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백제 寺浦, 현감, 호3900 전2700결 곡2600석 병1800 경440리 藍浦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치 藍浦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치 藍浦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읍치 藍浦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치 藍浦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치 藍浦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읍치 藍浦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읍치 藍浦縣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연혁)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 경덕왕 때에 남포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때에 가림현에 들어갔고 뒤에다시 남포현이 되었으나 신우 때에 왜구로 인하여 땅을 비웠다가 공양왕 때에 남포진을 설치하였고 세조 12년 진을 파하고현을 삼았다. 속한 면이 8개이고 관원은 현감 훈도 각 1인이다. (군명) 寺浦 藍浦縣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연혁)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가 지금이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현에 옮겨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신우 때에 왜구로 인하여 사람과 문물이 흩어졌던 것을 공양왕 2년 비로소 진성을 두고 불러 모았으며 본조 태조 6년 병마사 겸판현사를 두었다가 세조 12년 진을 파하고현감을 삼았다. (관원) 현감 훈도 각1인 (군명) 寺浦 馬山 藍浦縣 世宗實錄地理志<1454>037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가 지금 이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을 삼았고 고려 현종 무오에 가림현 임내로 옮겼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홍무 13년 경신에 왜구로 인하여 인물이 흩어졌다가경오에 진성을 두고 모아들였으며 본조 태조 6년 정축에비로소 진성을 두어 병마사 겸 판현사를 겸했다. 藍浦縣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본래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가 지금 이름으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현에 소속시켰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신우 때에 왜가 노략질하므로 사람과 물건이 사방에 흩어졌고 공양왕 2년 비로소 진성을 설치하고 흩어진 것을 불러 모았으며 본조 태조 6년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고 세조 12년 진을 파하고 현감을 두었다. (군명) 寺浦 馬山 지금은 藍浦 藍浦縣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본래 寺浦縣인데 신라 경덕왕이 藍浦로 고쳐 서림군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 가림군에 속했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우왕 6년 폐했으며(왜구로 인하어 인물이 흩어짐) 공양왕 2년 진성을 두었고(비로소 불러 모았다) 본조 태조 6년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고 세조 12년 진을 파하고 현감을 삼았다. 藍浦縣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본리 백제의 寺浦縣인데 신라가 지금 이름으로 고쳤고 본조에서 그대로 하였다. 南還倉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자관30리 內基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內基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內基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內基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內基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33호, 남68구, 여86구 內基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內基里(안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內基里酒幕(안터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內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內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內洞(안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內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0리 內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39리 內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內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內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內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69호 남109구 여148구 內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內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內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內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81호, 남92구, 여115구 內洞酒幕(안골쥬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內城洞(안셩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內松里(다리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內松酒幕(다리안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內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內院寺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재 峩嵋山 內甑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0리 內甑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0리 內甑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3리 內甑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43리 內甑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3리, 54호 남87구, 여87구 內甑山里(시루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蘆田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蘆田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蘆田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農所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2리 農所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2리 農所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2리 農所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2리 農所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2리, 20호, 남44구, 여57구 農所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農所里(못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籠岩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35리 籠岩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籠岩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籠岩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籠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30호 남61구, 여78구 籠岩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籠巖里(롱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勒山 東輿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勒田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37리 勒田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勒田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勒田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勒田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50호, 남82구, 여115구 勒田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多實只島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達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達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5리 達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5리 達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5리 達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5리 , 117호 남210구 여212구 達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新安面, 관문에서 5리 唐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堂峴里(무쳥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堂峴里酒幕(무쳥니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堂峴浦(무쳥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포구명, 남포군 웅천면 당현리 大達里(큰달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大達里酒幕(큰달월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大德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大德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大德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大德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大德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大德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29호 남34구 여48구 大德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大德洞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고비명, 남포군 북외면 성주리, 신라조 최치원이 찬을 바침 大郞慧和尙崔孤雲撰碑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大勒里(구레밧)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大山溪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山溪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山溪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大山溪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山溪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山溪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山溪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大山溪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大山溪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48호, 남81구, 여114구 大三溪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大三溪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大三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大三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大石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大石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大石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大石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大石島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서쪽 30리, 둘레 7리 大石島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해 속, 둘레 7리 大也谷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大也谷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9리 大也谷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9리 大也谷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9리, 12호 남12구 여19구 大也谷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10리 大也谷酒幕(야실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大也里(야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大川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大川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川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川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川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大川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大川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大川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남쪽 20리로 聖住山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大川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남쪽 20리로 聖住山 및 홍산 萬壽山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20리, 본현 북면 聖住山에서 나와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20리, 聖住山 및 홍산현 萬壽山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20리, 聖住山에서 나와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쪽 20리에 있는데 본현 북면 聖住山에서 나와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쪽 20리에 있는데 본현 聖住山에서 나와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쪽 20리에 있는데 聖住山에서 나와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 增補文獻備考<1903>중(향시)0936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장시) 4일 大川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0리 大川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0리, 聖住山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靑淵浦에 든다 大川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0리, 聖住山에서 나와 靑淵浦에 들어간다 大川(한)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도진명, 남포군 웅천면 대천리 大川橋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大川橋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관량) 현 남 20리, 大川을 건넌다. 大川橋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교량) 大川橋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교량) 현 남 30리 大川橋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교량) 현 남쪽 20리 大川橋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교량) 현 남쪽 30리 大川橋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교량) 현 남쪽 30리 大川橋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0리 大川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大川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大川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大川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大川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42호 남48구 여61구 大川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읍면 大川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大川里(한)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大川里(한)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大川里酒幕(한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고읍면 大川市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장시) 4,9일 장이 섬 大川市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장시) 현 남쪽 20리, 4,9일 장이 섬 大川市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장시) 현 남쪽 20리, 4,9일 장이 섬 大川市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20리 大川市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4,9일 설시 大川市(한장)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시장명, 남포군 웅천면 대천리 大川塲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난외)4,9일 大川場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4일 9일 大川酒幕(한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大川坪(한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고읍면 대천리 大菁里(큰무술)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大篁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5리 大篁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5리 大篁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5리, 78호 남138구 여250구 大篁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大篁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大篁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大篁竹島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남쪽 30리 大篁竹島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30리 德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德山 : 현 서, 남으로 비인 漆枝山, 북으로 余道岾 德山(宜松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둘레 3600보, 관문 30리 德山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德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德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德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40호 남87구 여91구 德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0리 德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德山峰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都古頭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都古頭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都古頭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都古頭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12호 남21구 여24구 都壯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桃花潭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桃花潭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桃花潭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桃花潭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獨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獨洞堰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獨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5리 獨山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5리 獨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5리, 93호 남150구 여242구 獨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獨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30리 獨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獨山里(홀뫼)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獨山里酒幕(홀뫼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東谷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東谷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1리 東谷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1리 東谷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1리 東谷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1리 東谷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1리, 65호 남115구 여165구 東谷里(동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東谷里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불은면에 있는데 둘레340자 東谷里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불은면에 있는데 둘레400자, 깊이3자 東谷里堤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불은면, 둘레 340척 東谷里堤堰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불은면에 있는데 둘레400자, 깊이3자 東谷堰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東谷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불은면 東谷里에 있는데 둘레가400자, 깊이가 3자 東谷堤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불은면 동곡 월현 사이 東谷酒幕(동실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洞口峙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습의면 농암리 東達峰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東達山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東達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심전면 소삼리 東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東幕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東幕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東幕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東幕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東門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문루) 東門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東門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읍성내 東門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東門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邑內面, 성 아래 東門外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東門外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東門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100호 남168구 여154구 東社倉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東社倉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창) 10칸, 현 남쪽 불은면 井谷里 20리 東社倉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東社倉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東社倉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정곡, 남30리 東山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東山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東山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19호, 남44구, 여65구 東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0리 東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東山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東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東鳥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내면 東軒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5칸 東軒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東軒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頭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杜鳴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杜鳴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杜鳴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 76호 남102구 여133구 杜鳴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新安面, 관문에서 20리 杜鳴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杜鳴里(두룬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杜鳴里店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자관15리 杜鳴里酒幕(두룬리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頭倉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燈檠山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燈檠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燈檠山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燈檠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燈檠山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燈檠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燈檠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현 북쪽 燈檠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 藍田驛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藍田驛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厲壇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厲壇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厲壇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厲壇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厲壇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당집) 厲壇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현 북 厲壇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현 북 厲坍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2리 竜岩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5리 栗島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梨峴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梁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진보 馬梁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진보 馬梁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진보 馬梁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진보 馬梁舊基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馬梁舊基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馬梁舊基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보) 馬梁舊基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보) 馬梁舊鎭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馬梁鎭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서) 현 서 33리, 진소관은 舒川浦, 수군첨절제사 1인, 본조 공희왕 때에 석성을 쌓았다. 둘레 1371자, 안에 우물 하나. 馬梁鎭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관방) 현 서 33리, 우도수군첨절제사영으로 舒川浦 소관, 첨절제사 1인 (신증)정덕 경오에 비로소 석성을 쌓았는데 둘레 1371자, 높이 9자, 우물 1 馬梁鎭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보)혁파됨, 서남 33리로 중종 5년 성을 쌓았는데 둘레 1371자, 우물 1이며 효종 7년 비인현으로 옮겼다. 馬梁鎭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중종5년 석축, 둘레 1379척, 높이9척. 우물1, 효종 7년 비인현으로 옮김 馬梁鎭舊基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梁鎭城 增補文獻備考<1903>상(성곽)0388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곽) 여지승람에 의하면 현 서쪽 33리에 있는데 중종 경오년에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370자이며 높이가 9자이며, 안에 우물이 1개라 한다. 馬峯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峯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峯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峯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馬峰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峰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峰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峯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현 북쪽 馬峙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峙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峙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馬峙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馬峙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馬峙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馬峙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쪽 길 馬峙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馬峙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馬峙 增補文獻備考<1903>상(성곽)0388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영로) 동쪽 길 馬峙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 馬峙(말)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군내면 동리 馬峙大路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동쪽으로 가는 馬峙大路, 홍산 경계까지 20리, 감영까지 130리 1일반정, 병영까지 210리 2일반정 馬峙大路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동쪽으로 가는 馬峙大路, 홍산 경계까지 49리, 감영까지 130리 1일반정, 병영까지 210리 2일반정 馬峙大路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동쪽으로 가는 馬峙大路, 홍산 경계까지 49리, 감영까지 130리 1일반정, 병영까지 210리 2일반정 馬峙大路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동쪽으로 馬峙大路는 홍산 경계에 접하는 49리 馬峙路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万壽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万壽山 大東輿地圖(15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萬壽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萬壽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萬壽山 大東方輿全圖(150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萬壽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萬壽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萬壽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萬壽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萬壽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梅川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梅川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麥島自磨石(보리셤자마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고적명소명, 남포군 신안면 하기리, 최사립이 시를 읊던 곳이라 한다. 㢱造川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㢱造浦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㢱造浦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㢱造浦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茅里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홍산, 동50리 茅項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茅項里(목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暮帍峙(모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심전면 신모리 無量寺 大東方輿全圖(150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無量寺 大東輿地圖(15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文廟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文庙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文廟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서 3리 文廟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재 鄕校 文廟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鄕校에 있다. 文廟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현 동쪽 2리 文廟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현 동쪽 2리 文庙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현 동쪽 3리 文庙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3리 文庙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읍성내 彌造浦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남 30리 彌造浦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30리 彌造浦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30리 彌造浦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남쪽 30리 彌造浦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0리 바락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성주리 樸坪所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樸坪所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동 35리, 지금은 心田里 樸坪所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 35리에 있는데 지금은 심전면이라 부른다. 撲坪所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쪽 35리로 지금은 深田이라 부른다. 撲坪所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쪽 35리로 지금은 深田이라 부른다. 撲坪所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쪽 35리로 지금은 深田이라 부른다. 撲坪所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고적명소명, 남포군 심전면, 군 동쪽 35리, 지금 없음, 연도 기록 없음 撲坪所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30리, 지금 深田 發山酒幕(바람박긔쥬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군내면 發岳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發岳里(발악뫼)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防船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선소 防船所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防築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古邑面, 관문에서 25리 防築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防築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防築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防築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51호 남72구 여158구 防築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읍면 防築里(방죽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防築酒幕(방죽골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고읍면 防項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防項里(방목)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防項里酒幕(방목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白文節墓(故國學大司成)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능묘) 현 동쪽 30리 羊角山 서쪽 기슭 白文節墓(故國學大司成)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능묘) 현 동쪽 30리 羊角山 서쪽 기슭 白文節墓(故國學大司成)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능묘) 현 동쪽 30리 羊角山 서쪽 기슭 白雲寺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寺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白雲寺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寺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白雲寺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聖住山에 있다. 白雲寺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白雲寺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白雲寺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白雲寺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白雲寺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동30리 白雲寺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사찰명, 남포군 북외면 성주산, 전의 이름은 崇岩寺 白雲寺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聖住山 白雲峙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峙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白雲峙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峙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峙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白雲峙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峙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白雲峙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峙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白雲峙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白雲峙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쪽 길 白雲峙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 碧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碧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兵船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선소 兵曺參判李茁墓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불은면 花山 뒷기슭 烽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옥미봉 烽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옥미봉 烽臺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鳳山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鳳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鳳山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烽伍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烽伍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3리 烽伍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熢伍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峯伍峙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峰伍峙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峯伍峙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28호 남54구 여62구 熢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烽村(봉의밋)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烽村酒幕(봉의밋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富近堂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古邑面, 관문에서 20리 富近堂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0리 富近堂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0리 富近堂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0리 富近堂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0리, 107호 남132구 여239구 富堂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읍면 北 東輿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北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北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北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北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巢隱洞 造尺山里 三絃里 都古頭里 後洞里 帝石洞里 大也谷里 大德洞里 古里頭里 新基里 瓮洞里 古也谷里 玉隱洞里 聖住里 造溪洞里 豊年洞里 元沈里 可也川里 上岩里 北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巢隱洞里 大德洞里 古里頭里 後洞里 古也谷里 伊川里 三賢里 造尺山里 都古頭里 帝石洞里 大也谷里 聖住里 造溪里 介也里 上岩里 豊年洞里 元沈里 北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巢隱里 造尺山里 三絃里 都古頭里 後洞里 帝石洞里 大也谷里 大德洞里 古里頭里 新基里 瓮洞里 古也谷里 玉隱洞里 聖住里 造溪洞里 豊年洞里 元沈里 可也川里 上岩里 北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巢隱里 造尺山里 三絃里 都古頭里 後洞里 帝石洞里 大也谷里 大德洞里 古里頭里 新基里 瓮洞里 古也谷里 玉隱洞里 聖住里 造溪洞里 豊年洞里 元沈里 可也川里 上岩里 北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초3리, 종15리 北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巢隱洞里 大德洞里 古里 頭里 唐洞里 古也谷里 伊川里 三賢里 造尺山里 帝石洞里 大也谷里 聖住里 造溪里 介也里 上巖里 豊年洞里 元沈里 北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5리 北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 종15 北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 종15 北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 종15 北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 종15 北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초3리 종15리 北面山內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面山內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面山內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面山內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山內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山內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山內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소은동 송촌 조척포 야과동 삼현리 제석동 봉산리 대덕동 고리 두창동 이천리 고야곡 독동, 호281 北面山外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面山外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面山外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山外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山外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北面山外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원침리 풍년동 상암리 개야리 조계동 성주리 심원동, 호158 北門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北亭子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亭子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亭子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亭子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北亭子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北亭子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亭子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北亭子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亭子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北亭子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北亭子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누정) 北亭子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누정) 北亭子大路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북쪽으로 가는 北亭子大路, 보령 경계까지 9리, 수영까지 40리 반일정, 홍주 전영까지 90리 1일정, 서울까지 447리 5일정. 北亭子大路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북쪽으로 가는 北亭子大路, 보령 경계까지 9리, 수영까지 40리 반일정, 홍주진 전영까지 90리 1일반정, 서울까지 447리 5일정. 北亭子大路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북쪽으로 가는 北亭子大路, 보령 경계까지 9리, 수영까지 40리 반일정, 홍주진 전영까지 90리 1일반정, 서울까지 447리 5일정. 北亭子大路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북쪽으로 北亭子大路는 보령 경계에 접하는 9리 北亭子店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자관5리 佛恩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동남쪽으로 초20리, 종30리 佛恩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佛恩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佛恩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佛恩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佛恩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佛恩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佛恩面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佛恩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佛恩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佛恩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佛恩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佛恩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佛恩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金塘里 荒城里 東谷里 井谷里 內洞里 花山里 坪里 驛村里 珠簾山里 鷰巖里 佛恩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金塘里 荒城里 東谷里 井谷里 內洞里 花山里 坪里 驛里 珠簾山里 燕岩里 佛恩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金塘里 荒城里 東谷里 井谷里 內洞里 花山里 坪里 驛里 珠簾山里 燕岩里 佛恩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金塘里 荒城里 東谷里 井谷里 內洞里 花山里 坪里 驛村里 珠簾山里 鷰岩里 佛恩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金塘里 荒城里 東谷里 井谷里 內洞里 花山里 坪村里 驛村里 珠簾山里 燕岩里 佛恩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佛恩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佛恩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佛恩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佛恩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0리 佛恩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남 초20리 종30리 佛恩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땅이 비옥하다 佛恩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20 종30 佛恩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20 종30 佛恩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20 종30 佛恩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20 종30 佛恩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20 종30 佛恩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화산리 금당리 황성리 옥적리 상촌 하촌 연암리 주산리 정곡 동곡 오상리 내동 동막리 평촌 월현리, 호345 飛鳳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보령 경 沙斤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沙斤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沙斤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沙斤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3리, 106호 남252구 여190구 沙斤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3리 沙近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沙斤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沙斤山(宜松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둘레 2900보, 관문 25리 社壇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社壇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社壇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社壇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社壇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社壇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社壇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당집) 使令廳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社鳴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社稷壇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社稷坍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社稷壇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社稷壇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社稷壇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서 4리 社稷壇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서쪽 4리 社稷壇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서쪽 4리 社稷坍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서쪽 5리 社稷壇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현 서 社稷壇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현 서 社稷坍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5리 司倉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司倉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10칸 司倉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읍내 司倉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성안에 있다. 司倉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재 성내 司倉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재 성내 沙川里(사근)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沙川里酒幕(사근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沙峴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沙峴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내면 沙峴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군내면 沙峴峙(사현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군내면 사현리 伺候船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선소 山鳥介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408자 山鳥介堤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습의면, 둘레 400척 山之古介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 回龍里에 있는데 둘레가 340자, 깊이가 3자 山之古介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340자, 깊이3자 山之古介堤堰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340자, 깊이3자 山之古介堤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습의면, 연도 기록 없음 山倉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문 30리 三巨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三巨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三巨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 58호 남73구 여85구 三巨里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신안면 三巨里에 있는데 둘레가 358자, 깊이가 3자 三巨里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신안면에 있는데 둘레 358자 三巨里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신안면에 있는데 둘레 358자, 깊이 3자 三巨里堤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신안변, 둘레 358척 三巨里堤堰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신안면에 있는데 둘레 358자, 깊이 3자 三巨里堤堰(양촌방죽)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신안면 양촌, 지금은 없음, 연도가 기록되지 않음 三溪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三溪坪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심전면 대산리 소삼리 내기리 농소리 평촌 신풍리 사이 三門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객사 三賢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三絃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9리 三絃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9리 三絃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9리, 57호 남252구 여181구 三賢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10리 三賢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三賢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三賢里酒幕(벗거리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上介里(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上巨里(위거무러지)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上九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上基里(위터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上內里(안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上都里(동장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上富里(불근당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上富里酒幕(불근당니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고읍면 상수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성주리 上水里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홍산 경 上新里(말)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上新里酒幕(말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上岩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上岩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上巖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上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25호 남47구 여62구 上巖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20리 上岩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上巖里(다화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上巖里酒幕(도화담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上巖川(도화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북외면 상암리 上野里(야관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上野里酒幕(야관이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습의면 上鳥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上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上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西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西門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문루) 西門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읍성내 西門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西門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邑內面, 성 아래 西門外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西門外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西門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성 아래에 있다. 70호 남123구 여130구 西社倉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창) 현 서쪽 신안면 冶洞 5리 西社倉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西社倉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西社倉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야동, 자관5리 石大 靑邱圖<3책>(191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石大 靑邱圖(乾14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石大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섬 石大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石大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石大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石大 靑邱要覽<乾>(191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石坮島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石臺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石臺島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石臺島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石臺島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石臺島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石大島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쪽 20리 石大島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쪽 30리 石大島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쪽 30리 石大島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30리 石臺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둘레 7리, 관문 30리, 거민3호 石大島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20리 船泊處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船泊處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船泊處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船泊處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船泊處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船泊浦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船所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船所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船所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船所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船所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자관10리 城洞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城洞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城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읍면 城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城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城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5리, 33호 남155구 여347구 城洞川(셩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고읍면 聖住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聖住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聖住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聖住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15호 남15구 여28구 聖住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20리 聖住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聖住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聖住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聖住寺 東輿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主寺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聖住山에 있는데 지금은 없고 다만 최치원이 지은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主寺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聖住山에 있는데 지금은 없고 다만 최치원이 지은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寺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재 聖住山 북쪽, 최치원이 지은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主寺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지금은 없고 다만 최치원이 지은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寺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聖住山에 있는데 지금은 없고 다만 최치원이 지은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寺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재 聖住山 북쪽, 최치원이 지은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寺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사찰명, 남포군 북외면, 지금 없음, 연도 기록 없음 聖住寺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성주산, 최치원이 찬한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寺 寺刹錄024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성주산, 절에 최치원이 찬한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寺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지금은 없으나 다만 대랑혜화상탑비가 있다. 聖住山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聖住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聖住山 大東方輿全圖(150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聖住山 大東輿地圖(15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東輿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聖住山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聖住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聖住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住山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聖柱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聖住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북25리, 남쪽 북쪽 2산이 합하여 큰 골짜기가 되는데 가운데가 평평하고 계곡과 산이 밝고 깨끗하며 물과 돌이 맑고 깨끗하며 계곡과 골짜기가 역시 많아 가히 살 만하며 산의 남쪽에 崔孤雲碑가 있다. (난외)聖住寺 崇岩寺 聖住山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聖住山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聖住山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聖住山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북쪽 25리, 총설에 있음 聖住山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북 25리 聖住山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북 25리 聖住山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북 25리, 청양현 白月山에서 성주산의 주줄기가 된다. 聖住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북쪽 25리에 있는데 청양현 白月山에서 와서 聖住山의 주줄기가 된다. 聖住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북쪽 25리에 있는데 청양현 白月山에서 와서 聖住山의 주줄기가 된다. 聖住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북쪽 25리에 있는데 청양현 白月山에서 와서 聖住山의 주줄기가 된다. 聖住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북25리, 산속이 평탄하고 시내와 산이 밝고 깨끗하며 산의 남쪽에 孤雲碑가 있다. 聖住寺 聖住山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25리 聖住山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25리, 청양현 白月山에서 와서 성주산의 주맥이 된다. 聖住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북외면 성주리 聖住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시내와 산이 밝고 깨끗하다 聖住浦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 15리 聖住浦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15리 聖住浦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15리 聖住浦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서쪽 15리 聖住浦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15리 星台山 大東方輿全圖(150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星台山 大東輿地圖(15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城隍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2리 城隍厲壇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북쪽 2리 城隍厲壇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북쪽 2리 城隍厲坍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북쪽 2리 城隍祠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현 남 10리 城隍祠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묘) 현 남 10리 城隍祠厲壇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현 북 2리 小達里(자근달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小路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서쪽으로 가는 小路, 해안까지 7리 小路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서쪽으로 가는 小路, 해안까지 7리 小路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서쪽으로 가는 小路, 해안까지 7리 小路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서쪽으로 小路는 해안에 접하는 7리 小勒里(구레밧)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小山溪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小山溪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小山溪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30호, 남67구, 여74구 小三溪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小三溪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0리 小三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小三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巢隱洞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巢隱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巢隱洞(송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巢隱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巢隱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巢隱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巢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56호 남87구 여98구 小菁里(자근무술)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素坪(쇠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신안면 방항리 小篁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7리 小篁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7리 小篁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7리, 81호 남149구 여216구 小篁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小篁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小篁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小篁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小黃竹島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남쪽 30리 小篁竹島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30리 松林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松林山(宜松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둘레 4820보, 관문 30리 松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수못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웅천면 소황리 洙岸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읍면 水岸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水鐵佛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水絃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水絃里(물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水絃里酒幕(물줄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崇岩寺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聖住山에 있는데 지금은 白雲寺라 부른다. 崇巖寺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聖住山에 있는데 지금은 白雲寺라 부른다. 崇嚴寺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재 聖住山 崇嚴寺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재 聖住山 崇嚴寺 寺刹錄024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성주산 習衣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동남쪽으로 초35리, 종40리 習衣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習衣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習衣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習衣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習衣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習衣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習衣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習衣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習衣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習衣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籠岩里 深洞里 九山里 新村里 柳谷里 外甑山里 內甑山里 習衣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籠岩里 深洞里 回竜里 野舘里 龜山 新村里 柳谷里 外甑山 內甑山 習衣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籠岩里 深洞里 回龍里 野舘里 九山里 新村里 柳谷里 外甑山里 內甑山 習衣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籠岩里 深洞里 回竜里 野舘里 龜山里 新村里 柳谷里 外甑山里 內甑山 習衣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籠巖里 深洞里 回龍里 野舘里 龜山里 新村里 柳谷里 外甑山里 內甑山里 習衣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習衣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習衣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習衣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習衣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5리 習衣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농암리 심동 회룡리 야관리 구산리 신촌 유곡 증산리 벽동, 호415 習衣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 초30리 종40리 習衣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習衣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習衣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5 종40 習衣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5 종40 習衣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5 종40 新基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7리 新基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7리 新基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7리, 13호 남20구 여23구 神堂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神堂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당집) 新茅里(참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新安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서넘쪽으로 초7리, 종15리 新安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新安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新安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新安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新安面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新安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新安面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新安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新安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新安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新安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令田里 杜鳴里 谷村里 蟻項里 達洞里 新安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令田里 杜鳴里 三巨里 蟻項里 達洞里 新安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令田里 社鳴里 三巨里 蟻項里 達洞里 新安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令田里 三巨里 杜鳴里 蟻項里 達洞里 新安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新安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新安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新安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新安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令田里 杜鳴里 谷村里 蟻項里 達洞里 新安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두명리 영전리 월계리 기동 곡촌 양촌 방항 의항 양아리 신촌 봉촌 매천리 달동 평촌 야동, 호407 新安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20리 新安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 초7리 종15리 新安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7 종15 新安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7 종15 新安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7 종15 新安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7 종15 新安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7 종15 新安祠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新安祠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단묘) 新安祠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현 서쪽 10리 新安祠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10리 新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新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新村(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新村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38리 新村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8리 新村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8리 新村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8리 新村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8리, 56호 남83구, 여116구 新村酒幕(말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습의면 新豊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新豊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新豊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新豊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新豊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21호, 남35구, 여60구 新豊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新豊里(주졍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深曲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曲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深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深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深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37리 深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深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深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深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深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7리, 45호 남86구, 여98구 深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深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深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深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3리, 33호, 남62구, 여94구 深洞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深洞酒幕(간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습의면 深洞峙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沈淵川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홍산 居次山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臨水臺를 경유 峩嵋山 남쪽에 이르러 鍾沈淵 서쪽이 되고 橫川에 이르러 동남쪽으로 꺽이고 불은면에 이르러서쪽으로 꺽이며 藍田을 경유 熊川浦에 이르러 바다에 들어간다. 深源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深田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본래 撲坪所인데 동쪽으로 초30리, 종40리 深田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深田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深田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深田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深田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深田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深田面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深田面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深田面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深田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深田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深田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深田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深田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巨勿里 龍岩里 勒田里 者羅谷里 鳥峙里 內洞里 金塘里 內基里 東山里 大三溪里 小三溪里 農所里 新豊里 深洞里 胎峯里 深田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巨勿里 竜岩里 勒田里 者羅谷里 鳥峙里 內洞里 金塘里 內基里 東山里 大三溪里 小三溪里 農所里 新豊里 深洞里 胎峰里 深田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巨勿於之里 竜岩里 勒田里 者羅谷里 鳥峙里 內洞里 金塘里 內基里 東山洞里 大山溪里 小山溪里 農所里 新豊里 深洞里 胎峰里 深田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巨勿於之里 竜岩里 勒田里 者羅谷里 鳥峙里 內洞里 金塘里 內基里 東山洞里 大山溪里 小山溪里 農所里 新豊里 深洞里 胎峰里 深田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巨勿於之里 竜岩里 勒田里 者羅谷里 鳥峙里 內洞里 金塘里 內基里 東山洞里 大山溪里 小山溪里 農所里 新豊里 深洞里 胎峰里 深田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深田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深田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深田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深田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거문리 수현리 용암리 평장리 늑전리 자라곡 도장동 조치리 내동 금당리 모항리 내기리 평촌 삼계리 동산리 신풍리 심동리 태봉리 발악리 농소리, 호527 深田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 초30리 종40리 深田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30리 深田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深田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深田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深田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深田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30 종40 衙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읍성내 衙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衙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峨嵋山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峨嵋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峨嵋山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峨嵋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峨嵋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峨嵋山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峨眉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峨眉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峨眉山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蛾尾山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蛾眉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蛾眉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蛾眉山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蛾眉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蛾眉山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峩嵋山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峩眉山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峩眉山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峩眉山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峩眉山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峩眉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峩嵋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 25리 峨嵋山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峨嵋山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峩眉山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峩嵋山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峨嵋山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阿彌라고도 쓰는데 동쪽 26리 峩嵋山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26리 峩嵋山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26리 峩嵋山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26리, 홍산현 月明山에서 와서 아미산의 주줄기가 된다. 峩嵋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26리에 있는데 홍산현 月明山에서 와서 峨嵋山의 주줄기가 된다. 峩嵋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26리에 있는데 홍산현 月明山에서 와서 峨嵋山의 주줄기가 된다. 峩嵋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26리에 있는데 홍산현 月明山에서 와서 峨嵋山의 주줄기가 된다. 峩眉山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고성 峩眉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25리, 홍산계 峩嵋山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26리, 홍산현 月明山에서 와서 峩嵋山의 주맥이 된다. 峩嵋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심전면 상거리 衙舍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18칸 衙舍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衙舍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衙舍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也果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野舘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野舘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野舘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野舘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85호 남185구, 여357구 野館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野館里堰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冶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冶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冶洞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羊角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羊角山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羊角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羊角山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羊角山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羊角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羊角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羊角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羊角山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羊角山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羊角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 20리, 聖住山 남쪽 줄기, 玉溪寺 羊角山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羊角山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羊角山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羊角山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동쪽 24리 羊角山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24리 羊角山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24리 羊角山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24리, 聖住山에서 와서 양각산의 주줄기가 된다. 羊角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24리에 있는데 聖住山에서 와서 羊角山의 주줄기가 된다. 羊角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24리에 있는데 聖住山에서 와서 羊角山의 주줄기가 된다. 羊角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24리에 있는데 聖住山에서 와서 羊角山의 주줄기가 된다. 羊角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24리 羊角山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24리, 聖住山에서 와서 양각산의 주맥이 된다. 羊角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심전면 하거리 梁牙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梁牙里(양아다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梁牙里酒幕(앙아다리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陽陰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陽陰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陽陰山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陽陰山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陽陰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陽陰山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陽陰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陽陰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陽陰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陽陰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陽陰山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陽陰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남 45리 홍산 경계 陽陰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남45리, 홍산계 陽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陽村(양지편)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陽村酒幕(양지편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於義谷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 龜山里에 있는데 둘레가 260자, 깊이가 3자 於義谷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260자, 깊이 3자 於義谷堤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260자, 깊이 3자 於義谷堤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습의면 余道岾 : 현 북, 북으로 보령 助侵山 餘道岾烽燧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북으로 8리, 서쪽으로 보령현 助侵山에 응하고 남으로 通達山에 응한다. 餘道岾烽燧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현 북 8리, 서로 보령현 助侵山에 응하고, 남으로 通達山에 응한다. 驛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驛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116호 남171구 여293구 驛村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驛村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驛村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鷰巖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0리 燕岩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燕岩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鷰岩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鷰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20호 남19구 여33구 燕岩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鷰巖里(졔비바위)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燕岩店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35리 鷰巖酒幕(졔비바위쥬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永◯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營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재 성내 迎月峙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불은면 내동 令田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令田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令田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令田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20리, 88호 남132구 여160구 令田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新安面, 관문에서 20리 令田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令田里(룡머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令田里酒幕(룡머리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令田山(宜松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둘레 4300보, 관문 25리 令田浦(룡머리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포구명, 남포군 신안면 영전리 營倉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營倉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10칸 營倉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성안에 있다. 營倉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10칸, 재 성내 永興寺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永興寺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永興寺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永興寺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永興寺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永興寺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永興寺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永興寺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永興寺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峨嵋山에 있다. 永興寺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峨嵋山에 있다. 永興寺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峩嵋山에 있다. 永興寺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재 峩眉山 永興寺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永興寺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永興寺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永興寺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永興寺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峩嵋山에 있다. 永興寺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재 峩嵋山 永興寺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동40리 永興寺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사찰명, 남포군 심전면 아미산, 지금 없음 永興寺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아미산 永興寺 寺刹錄024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아미산 永興寺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峩嵋山 五坮山 大東方輿全圖(150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五坮山 大東輿地圖(15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五坮山 東輿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五坮山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五臺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북 15리 보령 경계 五臺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15리, 보령계 五常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五常里(오상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獄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獄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읍성내 玉溪寺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羊角山에 있는데 지금은 金崗菴이라 부른다. 玉溪寺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羊角山에 있는데 지금은 金崗菴이라 부른다. 玉溪寺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불우) 재 羊角山 玉溪寺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羊角山에 있는데 지금은 金崗菴이라 부른다. 玉溪寺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재 羊角山 玉溪寺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사찰명, 남포군 심전면 양각산, 전의 이름은 玉溪寺, 지금 이름은 金崗菴 玉溪寺 寺刹錄024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양각산 玉馬峯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玉馬峯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峯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峰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玉馬山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玉馬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玉馬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玉馬山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玉馬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玉馬山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馬山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玉馬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동 8리 玉馬山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玉馬山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玉馬山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玉馬山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玉馬山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동쪽 8리, 총설에 있음 玉馬山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5리, 횡으로 열려 평탄하며 병풍과 같으며 위에 신사가 있으니 속칭 김부대왕사라 한다. 玉馬山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8리 玉馬山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 8리, 본현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옥마산의 주줄기가 된다. 玉馬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8리에 있는데 본현 북면 聖在山에서 와서 玉馬山의 주줄기가 된다. 玉馬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8리에 있는데 본현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玉馬山의 주줄기가 된다. 玉馬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동쪽 8리에 있는데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玉馬山의 주줄기가 된다. 玉馬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8리 玉馬山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8리 玉馬山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8리, 북면 聖住山에서 와서 玉馬山의 주맥이 된다. 玉馬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군내면 교촌 玉馬峙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眉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봉수 玉眉峯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眉峯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眉峰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玉眉烽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玉眉烽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玉眉峯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관문에서 남쪽 15리, 북으로 앉아서 남쪽을 향함, 비인 㓒枝山烽燧에서 와서 응하여 보령 阻侵山烽燧로 간다. 玉眉峰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玉眉峯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봉수 玉眉峯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봉수 玉眉峯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봉수 玉眉峰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봉수 玉眉烽臺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尾峰烽臺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眉峯烽臺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玉眉峯烽臺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眉峯烽臺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玉眉峯烽燧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관문에서 남쪽 15리, 북으로 앉아서 남쪽을 향함, 남쪽 30리인 비인 땅 㓒枝山烽燧에서 와서 응하여 북쪽 35리인 보령 땅 阻侵山烽燧로 간다. 玉眉峰烽燧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관문에서 남쪽 15리, 북으로 앉아서 남쪽을 향함, 남쪽 30리인 비인 땅 㓒枝山에서 와서 북쪽 35리인 보령 땅 阻侵山으로 간다. 玉眉峯烽燧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남으로 비인현 㓒枝山烽燧, 북으로 보령현 阻侵山烽燧崇嚴寺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聖住山에 있는데 지금은 白雲寺라 부른다. 玉眉峯烽燧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관문 남15리, 자좌오향, 비인 㓒枝山烽燧에 응하여 보령 沮浸山烽燧에 전한다. 玉眉峰烽燧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자관15리 玉眉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서남 3리 玉眉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봉수 玉眉山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봉수 玉眉山烽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문 15리, 비인 㓒枝山烽에서 와서 보령 助侵山烽으로 간다. 玉眉山烽臺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玉眉山烽臺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玉眉山烽燧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10리 玉肙峯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玉肙峯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봉수 玉肙峯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봉수 玉隱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7리 玉隱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7리 玉隱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7리, 21호 남23구 여56구 玉積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玉積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玉積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玉湖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瓮谷里(독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瓮谷里堤堰(독골방죽)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북내면 옹곡리, 지금은 없으며 연도가 기럭되지 않음 瓮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3리 瓮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3리 瓮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3리, 13호 남17구 여19구 瓮洞里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북면에 있는데 둘레 648자, 깊이 3자 瓮洞里堤堰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북면에 있는데 둘레 648자, 깊이 3자 瓮洞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북면 瓮洞里에 있는데 둘레가 648자, 깊이가 3자 瓮洞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북면에 있는데 둘레 648자 瓮洞堤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재 북면, 둘레 648척 浣汀浦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포구명, 남포군 고읍면 방축리 王眉山烽臺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外三門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책실 外城洞(밧셩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外城洞洑(밧셩골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보명, 남포군 고읍면 외성리 外城洞酒幕(밧셩골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고읍면 外松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外松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外甑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41 리 外甑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41리 外甑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1리, 55호 남119구, 여111구 外甑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41 리 外甑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41 리 外甑山里(시루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外甑山酒幕(시루몌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습의면 龍岩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35리 龍岩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5리 龍岩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5리 龍岩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5리, 35호, 남81구, 여111구 龍巖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龍岩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龍巖里川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심전면 용암리 龍巖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龍臥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5리 龍臥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5리 龍臥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5리 龍臥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5리, 30호 남57구 여84구 龍臥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15리 龍臥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龍臥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牛島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牛島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牛峙(우릐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고읍면 평리 熊川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남쪽으로 초10리, 종35리 熊川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熊川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방리 熊川(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웅천면 노전리 熊川面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熊川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熊川面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熊川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熊川面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熊川面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熊川面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龍臥里 花望里 德山里 看入里 峯伍峙里 獨山里 大篁洞里 小篁洞里 廣岩里 向化里 菁洞里 九龍里 長佐洞里 沙斤里 熊川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龍臥里 花望里 德山里 看入里 峯伍峙里 獨山里 大篁洞里 小篁洞里 廣岩里 向化里 菁洞里 九龍里 長佐洞里 沙斤里 熊川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龍臥里 花望里 德山里 看入里 峰伍峙里 獨山里 大篁洞里 小篁洞里 廣岩里 向化里 菁洞里 九竜里 長佐洞里 沙斤里 熊川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龍臥里 花望里 德山里 看入里 長佐里 菁洞里 九龍里 烽伍里 獨山里 大篁里 小篁里 廣岩里 沙斤里 熊川面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熊川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熊川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熊川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熊川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龍臥里 花望里 德山里 看入里 長佐里 菁洞里 九龍里 烽伍里 獨山里 大篁里 小篁里 廣岩里 沙斤里 熊川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 초10리 종35리 熊川面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땅이 비옥하다 熊川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15리 熊川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용와리 화망리 덕산리 창리 간입리 독산리 황동 광암리 청동 장기리 봉오리 구룡리 노전리 사근리 대천리 장좌동, 호496 熊川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35 熊川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35 熊川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35 熊川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35 熊川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0 종35 熊川浦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浦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浦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熊川浦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熊川浦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熊川浦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남 25리 熊川浦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35리 熊峙(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불은면 내동 元沈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3리 元沈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3리 元沈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3리 元沈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3리, 17호 남33구 여44구 元沈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20리 元沈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元沈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月溪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月溪里(다리울)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月鉤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관문에서 서쪽 3리邑城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지) 하략 月鉤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관문에서 서쪽 3리邑城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지) 하략 月鉤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관문에서 서쪽 3리, 51호 남106구 여118구 月鉤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관문에서 서쪽 5리校村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邑內面, 관문에서 서쪽 5리邑城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지) 하략 月鉤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邑內面, 관문에서 5리 月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내면 月村(월구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月峴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月峴里(다른고)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月峴酒幕(다른고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柳谷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柳谷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習衣面, 관문에서 40리 柳谷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0리 柳谷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0리 柳谷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0리 柳谷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40리, 47호 남92구, 여93구 柳谷里(버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栗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栗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섬 栗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栗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栗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栗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栗島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栗島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栗島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栗島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栗島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栗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栗島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栗島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栗島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栗島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栗島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栗島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栗島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남쪽 7리 栗島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쪽 7리 栗島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쪽 7리 栗島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쪽 바다에 있다. 栗島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 중 栗島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에 있다. 栗島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7리 栗島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남쪽 7리 栗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문 20리, 무인거 栗島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7리 栗島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해 속 栗島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섬 栗洞(밤나무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邑基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邑內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종5리 邑內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방리 邑內面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邑內面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東門里 西門里 南門里 月鉤里 校村里 邑內面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東門外里 南門外里 西門外里 月鉤里 邑內面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東門外里 南門外里 西門外里 月鉤里 邑內面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東門外里 南門外里 西門外里 月鉤里 邑內面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邑內面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邑內面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 邑內面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東門里 西門里 南門里 月鉤里 校村里 邑內面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사현리 월촌 동조리 교동 현내, 호184 邑內面 輿載撮要4<吳宖默>p66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2리 邑內面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종5리 邑內面 輿地圖02<1736-1767>(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 종2 邑內面 廣輿圖<1800이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 종2 邑內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난외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 종2 邑內面 地乘<1776이후>(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 종2 邑內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군내면 邑石城 : 둘레 317보, 안에 우물 3개 있어 여름 겨울로 마르지 않는다. 邑城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곽) 석축으로 둘레 2476자, 높이 15자, 샘 3개 邑城 增補文獻備考<1903>상(성곽)0388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곽) 석축으로 둘레 590보, 높이 5장, 첩 26, 옹성 3, 안에 샘이 3개 邑城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지) 둘레 825장 자로는 2476자 보로는 950보, 높이 5장 자로는 15자 보로는 6보, 첩26, 동문 서문 남문에 옹성이 있고 안에 샘이 3개 있으며 邑城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지)둘레 950보, 옹성 3, 우물 3 邑城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둘레 2,476척, 높이 15척, 동⋅서⋅남문에 각기 옹성이 있고 안에 각기 샘이 있으며 깊이가 1장 邑城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둘레 4476척 邑城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석축 둘레 950보 첩26, 높이3장, 옹성3, 샘3 邑城(골셩)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성보명, 남포군 군내면 邑倉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邑倉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읍기) 邑倉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邑治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義谷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260자 義谷堤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습의면, 260척 蟻項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蟻項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15리 蟻項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15리 蟻項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15리 蟻項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新安面, 관문에서 15리 , 161호 남312구 여376구 蟻項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新安面, 관문에서 15리 蟻項里(목)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蟻項酒幕(목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李茁墓(故兵曺參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능묘) 현 남쪽 30리 花山 남쪽 기슭 李茁墓(故兵曺參判)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능묘) 현 남쪽 30리 花山 남쪽 기슭 李茁墓(故兵曺參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능묘) 현 남쪽 30리 花山 뒤쪽 기슭 伊川(으름)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북내면 창동 伊川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伊川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5리 伊川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伊川里(으름)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伊川里酒幕(으름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梨峙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峙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梨峙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 梨峙大路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남쪽으로 梨峙大路는 비인 경계에 접하는 40리 梨峴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梨峴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梨峴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梨峴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梨峴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梨峴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남쪽 길 梨峴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영로) 梨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현명, 남포군 신안면 두명리 梨峴大路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남쪽으로 가는 梨峴大路, 비인 경계까지 40리 梨峴大路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남쪽으로 가는 梨峴峙大路, 비인 경계까지 40리 梨峴峙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梨峴峙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梨峴峙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梨峴峙大路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로) 남쪽으로 가는 梨峴峙大路, 비인 경계까지 40리 立竹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立竹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立竹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立竹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立竹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立竹島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쪽 바다에 있다. 立竹島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 중 立竹島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에 있다. 立竹島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서쪽 30리 立竹島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해 속 者羅谷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者羅谷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37리 者羅谷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者羅谷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者羅谷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者羅谷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7리, 20호, 남56구, 여76구 者羅谷里(자라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者羅山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者羅山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作廳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8칸 作廳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場基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場基里(장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長佐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長佐洞(자좌울)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長佐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長佐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長佐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32호 남40구 여78구 長佐洞酒幕(장좌울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웅천면 長佐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長佐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0리 將廳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儲置庫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7칸 儲置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7칸, 성안에 있다. 儲置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7칸, 재 성내 儲寘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7칸, 재 성내 儲置庫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7칸 戰船廠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서쪽 10리에 있는데 옛날에는 造尺山 아래에 있었는데 뒤에 포구에 옮겨 설치했다. 戰船廠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방선 병선 사후선 각1척, 서15리 포구 店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횡천교, 15리 井谷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井谷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3리 井谷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3리 井谷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3리 井谷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3리 井谷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3리, 38호 남54구 여98구 井谷里(암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帝碩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帝碩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帝石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帝石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帝石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帝石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76호 남97구 여135구 帝石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10리 帝碩洞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造溪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造溪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造溪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造溪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35호 남40구 여76구 造溪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造溪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20리 造溪里(조계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造尺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造尺山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造尺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造尺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47호 남73구 여98구 造尺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10리 造尺山浦口(조잠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관방명, 남포군 북내면 조척포 造尺浦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造尺浦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도) 造尺浦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도) 造尺浦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내 造尺浦(조잠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里 造尺浦酒幕(조잠포쥬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鳥峙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鳥峙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鳥峙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鳥峙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鳥峙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鳥峙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鳥峙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鳥峙()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치명, 남포군 심전면 상조리 鳥峙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39리 鳥峙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鳥峙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鳥峙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鳥峙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39리, 71호, 남92구, 여115구 鳥峙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鳥峴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種沈淵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沈淵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鍾沈淵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沈淵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沉淵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沉淵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沉淵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沉淵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沉淵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鍾沉淵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鍾沉淵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鍾沉淵川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종25리, 수경에 상세하다 舟橋里(다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珠簾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珠簾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0리 珠簾山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珠簾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珠簾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珠簾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15호 남20구 여33구 朱夫子院所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기축년에 지었다가 무술년에 훼철했다. 珠山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珠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朱子書院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원명, 남포군 신안면 매천리, 지금은 없음, 갑자년 훼철 竹 靑邱圖<3책>(1916)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 靑邱圖(乾14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竹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竹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竹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竹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竹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竹島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竹島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竹島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竹島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竹島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竹島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쪽 바다에 있다. 竹島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 중 竹島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에 있다. 竹島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남쪽 30리 竹島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문 30리, 무인거 竹島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해 속 中臺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中臺菴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中臺菴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中坮庵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中臺菴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사찰) 中臺菴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동30리 中臺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사찰명, 남포군 심전면 상거리 中島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中里(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군내면 中峰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甑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甑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甑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甑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甑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甑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甑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甑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甑山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 內甑山里에 있는데 둘레가 301자, 깊이가 3자 甑山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301자, 깊이 3자 甑山堤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301자, 깊이 3자 甑山堤堰(시루메졔은)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습의면 誌石浮出所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倉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읍성내 倉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倉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倉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昌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昌洞酒幕(북졍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倉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倉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倉村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冊室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尺山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泉谷里(암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菁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菁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菁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菁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菁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69호 남111구 여140구 菁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20리 淸淵浦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淸淵浦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靑淵浦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靑淵浦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靑淵浦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靑淵浦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靑淵浦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남 23리 靑淵浦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23리,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23리,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23리,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쪽 23리에 있는데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쪽 23리에 있는데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쪽 23리에 있는데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도) 靑淵浦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도) 靑淵浦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도) 靑淵浦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진도) 靑淵浦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남쪽 23리 靑淵浦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3리 靑淵浦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23리, 大川 하류로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靑淵浦(갈마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포구명, 남포군 웅천면 대천 하류 崔孤雲碑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崔孤雲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崔孤雲碑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비석) 崔孤雲撰碑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崔孤雲撰碑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崔孤雲撰碑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崔孤雲撰碑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崔故雲撰碑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崔文昌碑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崔文昌碑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비석) 崔致遠碑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비석) 崔致遠所撰大郞慧和尙塔碑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비석) 吹鍊毛老里 : 자기소, 현 동, 중품 炭釜浦 : 도기소, 현 동, 하품 塔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胎峯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胎峯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深田面, 관문에서 45리 胎峰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5리 胎峰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5리 胎峰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5리 胎峰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동쪽, 深田面, 관문에서 45리, 22호, 남35구, 여43구 胎峰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胎峰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胎峰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土司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土津串 : 둘레 16리 34보 兎峙堤堰(토기방죽)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제언명, 남포군 습의면 兎峴堤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 野舘里에 있는데 둘레가 520자, 깊이가 3자 兎峴堤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520자 兎峴堤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520자, 깊이 3자 兎峴堤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제언) 습의면에 있는데 둘레 520자, 깊이 3자 兎峴堤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습의면, 둘레 520척 通達山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通達山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通達山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通達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通達山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通達山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通達山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通達山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 30리 해변 通達山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通達山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通達山 增補文獻備考<1903>상(산천)0330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남쪽 33리 通達山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33리 通達山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 33리, 九龍山에서 와서 통달산의 주줄기가 된다. 通達山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남 33리 通達山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쪽 33리에 있는데 九龍山에서 와서 通達山의 주줄기가 된다. 通達山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쪽 33리에 있는데 九竜山에서 와서 通達山의 주줄기가 된다. 通達山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쪽 33리에 있는데 九竜山에서 와서 通達山의 주줄기가 된다. 通達山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산명, 남포군 웅천면 소황리 通達山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33리, 九竜山에서 와서 통달산의 주맥이 된다. 通達山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30리, 해변 通達山烽燧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남으로 비인현 漆枝山에 응하고 북으로 餘道岾에 응한다. 通達山烽燧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봉수) 남으로 비인현 漆枝山에 응하고, 북으로 餘道岾에 응한다. 判水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坪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古邑面, 관문에서 23리 坪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5리 坪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3리 坪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3리 坪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3리 坪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古邑面, 관문에서 23리, 72호 남99구 여196구 坪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면, 관문에서 30리 坪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면, 관문에서 30리, 20호 남30구 여45구 坪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면, 관문에서 35리 坪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고읍면 坪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坪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고읍면 平章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平章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平章里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平章里川(조분목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심전면 평장리 坪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坪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坪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坪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신안면 坪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심전면 坪村(삭갓)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坪村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면, 관문에서 30리 坪村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坪村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坪村酒幕(삭갓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豊年洞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豊年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북면산외 豊年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豊年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豊年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豊年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20리, 45호 남47구 여94구 豊年洞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북)北面, 관문에서 20리 豊年洞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豊年洞川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북외면 풍년동 豊年洞坪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북외면 풍년동 송화담 원심리 사이 下介里(화)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외면 下介里酒幕(말밋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외면 下巨里(아거무러지)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下九里(마차울)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下基里(아터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下內里(언고)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下島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下都里(동장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심전면 下都里酒幕(도장골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下富里(불근당니)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고읍면 下新里(말)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신안면 下新里酒幕(말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신안면 下野里(두란이)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下野坪(야관니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습의면 상야 하야 회룡리 사이 下鳥里酒幕(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심전면 下村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海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 7리, 남 30리 海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남 9리 海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서남 9리 海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지도에 상세함 海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창고 海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창고 海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창고 海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창고 海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창고 觧山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觧山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海倉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海倉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海倉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海倉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海倉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海倉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海倉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海倉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海倉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海倉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海倉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海倉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9칸 웅천면 海倉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서남 15리 海倉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20리 海倉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9칸, 웅천면 海倉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관문 20리 海倉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15리 海倉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창고 海倉庫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9칸, 현 서 20리 웅천면 海倉庫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9칸, 현 서쪽 20리 웅천면 海倉庫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창고) 9칸, 현 서쪽 20리 웅천면 鄕校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鄕校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鄕校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鄕校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鄕校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현 동 1리 鄕校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학교) 현 동 1리 鄕校舊基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鄕射堂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궁실) 성 동문 밖에 있다. 鄕廳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11칸 鄕廳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向化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向化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向化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30리, 23호 남43구 여41구 憲兵分遣所(병참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참명, 남포군 북외면 상암리 憲兵分遣所(병참쇼)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참명, 남포군 군내면 읍성내 縣內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내면 縣內面 八道輿地圖(1-16)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縣內面 地乘<1776이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縣內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縣內面 輿地圖02<1736-176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縣內面 廣輿圖<1800이전>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縣內面 海東地圖01<1750년대초>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縣內面 備邊司印方案地圖(호서)<1745-1760>(주기)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초1 종2 縣司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공해) 3칸 縣城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성곽) 석축으로 둘레가 2476자, 문이 있고 성내에 세 개의 샘이 있다. 刑廳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花溪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토지가 비옥하고 물고기 소금이 풍부하다. 花溪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토지가 비옥하고 어렴이 풍부하다 花望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7리 花望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7리 花望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17리, 58호 남120구 여152구 花望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서쪽, 熊川面, 관문에서 20리 花望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熊川面, 관문에서 17리 花望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花望里(곳부)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웅천면 花山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花山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花山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0리 花山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花山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花山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花山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0리, 91호 남140구 여184구 花山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花山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花山洑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보명, 남포군 불은면 화산리 花山酒幕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불은면 花山川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불은면 화산리 花山坪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불은면 화산리 내동 평촌 동곡리 사이 環里(고리머리)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環里酒幕(고리머리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북내면 還倉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읍성내 黃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黃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篁洞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웅천면 荒城里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남)佛恩面, 관문에서 39리 荒城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29리 荒城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29리 荒城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29리, 73호 남128구 여159구 荒城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佛恩面, 관문에서 39리 篁城里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불은면 篁城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불은면 篁升島 忠淸道邑誌2(44권)<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篁升島 忠淸道邑誌(지도)<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黃竹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黃竹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黃竹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섬 黃竹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黃竹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黃竹 大東與地圖(14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 섬 黃竹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黃竹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黃竹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黃竹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섬 篁竹島 忠淸道邑誌1(읍지1)p50<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篁竹島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篁竹島 忠淸南道邑誌7(남포 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篁竹島 湖西邑誌(지도)<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篁竹島 邑誌(지도)<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黃竹島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黃竹島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남쪽 30리 黃竹島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도서) 현 서쪽 30리 黃竹島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수)서남쪽 바다에 있다. 黃竹島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 중 黃竹島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서해에 있다. 黃竹島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현 남 30리 黃竹島 增補文獻備考<1903>상(해방)04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해방) 남쪽 30리 黃竹島 輿圖備志6<崔瑆煥>087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서남해 속 回龍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回竜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回竜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回龍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남쪽, 習衣面, 관문에서 35리, 33호 남86구, 여82구 回龍里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 습의면 回龍里(산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습의면 回龍里酒幕(산조주막)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주막명, 남포군 습의면 橫川 大東方輿全圖(1607)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 大東輿地圖(16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 大東與地全圖(1603)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橫川 東輿圖(170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 輿地圖書(지도)<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산천) 橫川(비기)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천명, 남포군 북외면 하개리 橫川橋 1872年地方圖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橋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교량) 현 동쪽 20리 橫川橋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20리 橫川所 靑邱圖<3책>(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所 朝鮮地圖01<1750-1768>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所 靑邱圖(乾142)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橫川所 八道郡縣地圖<미상>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所 輿載撮要4<吳宖默>p66<지도>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橫川所 靑邱要覽<乾>(1915) 충청 남포 규장각지도 橫川所 海東輿地圖(1-54)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橫川所 大東與地圖(1305) 충청 남포 국립중앙지도 橫川所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 21리 橫川所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 21리 橫川所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쪽 21리 橫川所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쪽 21리 橫川所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고적) 현 동쪽 21리 橫川所 大東地志<1864>0115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면)동쪽 21리 橫川所 忠淸道邑誌2(44권)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21리 橫川院 東國輿地勝覽<1531>034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역원) 현 동 20리 橫川院 東國輿地志0192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우역) 현 동 20리 後洞(뒤골)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동리촌명, 남포군 북내면 後洞里 邑誌<1895>0279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後洞里 湖西邑誌<1871>0257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後洞里 輿地圖書<1765>상0373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10리, 18호 남19구 여30구 後洞里 忠淸道邑誌<영조-헌종>0551 03충청 123남포 우보농막고서 : (방리) 북쪽, 北面, 관문에서 5리 後坪(듸들) 朝鮮地誌資料5(충청남도2) 충청 남포 국립중앙고서 : 평명, 남포군 군내면 남리 서리 사이 남포.txt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2/13 23:50저자 sea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