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해(창일중학교 교장)
오리엔티어링(Orienteering)은 영어의 “방향을 정하다” 의 의미이며, 독일어로는 오리엔티룽스 라우프(Orientierungs Lauf)로 “방향을 정하여 달리다”라는 뜻으로 줄여서 OL이라고 한다. 이것은 현재 야외스포츠의 한 종목으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올림픽 종목으로의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오리엔티어링은 미지의 지역에서 지도와 나침반에 의존하여 설치자가 통과지점 마크로써 설치한 일련의 통과지점(Control point)을 찾아 가능한 한 최단시간에 주파하여, 그 소요시간(점수)을 겨루는 야외스포츠이다.
체력은 신체적 고통을 극복한 후에 비로소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리엔티어링은 산야를 달리면서 체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퀴즈문제와 같은 오리엔티어링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줄거움을 느끼며 모르는 사이에 체력이 향상된다. 즉 통과지점 사이의 루트선택(Route choice)이 전적으로 개인의 자유에 맡겨지기 때문에 자기의 판단력으로 통과지점을 찾아야 하고 그로 인해서 흥미와 흥분감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야외활동에는 경쟁적 야외활동과 비경쟁적 야외활동이 있다. 이 가운데 경쟁성이 있고 객관적 공평성이 있는 것을 스포츠 활동이라 하고, 비경쟁적이며 자신만의 흥미만을 충족시키는 것을 레져활동 이라고 한다. 오리엔티어링은 야외의 숲과 구릉지대에서 행해지면서도 경쟁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자연 속에서 행해지는 유일한 경쟁적 스포츠 이다.
오리엔티어링은 연령 ․ 성별과 기술수준에 의해 다양하게 등급(clsaa)이 나누어지므로, 10세 이하의 어린이로부터 70세 이상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리엔티어링의 형태도 다양하게 세분화되어있어 각 형태별로 독특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는 남녀별 연령별로 완전히 세분되고 오리엔티어링기술의 정도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분류되어 경기에 참가하고 있다.
오리엔티어링은 경기방법과 참가자 ․ 경기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지역위에 표시된 표지기를 따라가며, 지도상에 지나간 루트를 표시하는 방식.
지도상에 표시된 선(Line)을 따라 지역을 운행하며, 도중에 살치된 통과지점 마크에서 통 과를 확인해 오는 방식
설치자가 설치한 통과지점을 순서대로 찾아 최단시간 내에 돌아오는 방식이다.
제한된 시간내에 가능한 한 많은 통과지점을 돌아 그 통과지점들에게 부여된 점수를 합산 비교하는 방식
지정된 순서지점에 따라 통과지점을 통과하되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결승지점에 골인하는 사람이 우승자가 되며, 통과지점(control point) 사이의 루트는 경기자가 자유로이 선택한다.
코스부호는 표준지도 위에 붉은색으로 표시되거나 지도에 덧인쇄되어 있다.
통과지점 마크는 30×30cm의 정사각형을 연결한 삼각주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사각형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대각선 분활하여 밑부분은 짙은 오렌지색, 위쪽은 백색으로 되어있다. 거기에 각 통과지점의 코드를 검은색으로 2개의 문자나 30~99 숫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통과를 확인하는 펀치가 달려 있다.
지도상에 나타난 직경 5mm ~6mm의 통과지점 내부에 더욱더 정확한 통과지점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설명을 하여주는 것이 통과지점 설명서 이다. 여기에는 통과지점의 통과순서, 코드번호, 통과지점 마크의 위치를 짧은 말로 기록한다. 국제적인 경기에서는 이 설명서가 국제 규정에 의한 부호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