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티어링 개론
정 해(창일중학교 교장)
오리엔티어링(Orienteering)은 영어의 “방향을 정하다” 의 의미이며, 독일어로는 오리엔티룽스 라우프(Orientierungs Lauf)로 “방향을 정하여 달리다”라는 뜻으로 줄여서 OL이라고 한다. 이것은 현재 야외스포츠의 한 종목으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올림픽 종목으로의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가. 오리엔티어링의 정의
오리엔티어링은 미지의 지역에서 지도와 나침반에 의존하여 설치자가 통과지점 마크로써 설치한 일련의 통과지점(Control point)을 찾아 가능한 한 최단시간에 주파하여, 그 소요시간(점수)을 겨루는 야외스포츠이다.
나. 오리엔티어링의 특징
(1) 즐거운 체력 향상
체력은 신체적 고통을 극복한 후에 비로소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리엔티어링은 산야를 달리면서 체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퀴즈문제와 같은 오리엔티어링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줄거움을 느끼며 모르는 사이에 체력이 향상된다. 즉 통과지점 사이의 루트선택(Route choice)이 전적으로 개인의 자유에 맡겨지기 때문에 자기의 판단력으로 통과지점을 찾아야 하고 그로 인해서 흥미와 흥분감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2) 자연 속의 스포츠
야외활동에는 경쟁적 야외활동과 비경쟁적 야외활동이 있다. 이 가운데 경쟁성이 있고 객관적 공평성이 있는 것을 스포츠 활동이라 하고, 비경쟁적이며 자신만의 흥미만을 충족시키는 것을 레져활동 이라고 한다. 오리엔티어링은 야외의 숲과 구릉지대에서 행해지면서도 경쟁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자연 속에서 행해지는 유일한 경쟁적 스포츠 이다.
(3) 누구나 즐기는 다양한 형태
오리엔티어링은 연령 ․ 성별과 기술수준에 의해 다양하게 등급(clsaa)이 나누어지므로, 10세 이하의 어린이로부터 70세 이상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리엔티어링의 형태도 다양하게 세분화되어있어 각 형태별로 독특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는 남녀별 연령별로 완전히 세분되고 오리엔티어링기술의 정도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분류되어 경기에 참가하고 있다.
다. 오리엔티어링의 종류
오리엔티어링은 경기방법과 참가자 ․ 경기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1) 코스설치 오리엔티어링(Prest-course Orienteering)
(가) 루트 오리엔티어링 (Route Orienteering)
지역위에 표시된 표지기를 따라가며, 지도상에 지나간 루트를 표시하는 방식.
(나) 라인 오리엔티어링 (Line Orienteering)
지도상에 표시된 선(Line)을 따라 지역을 운행하며, 도중에 살치된 통과지점 마크에서 통 과를 확인해 오는 방식
(2) 통과지점 설치 오리엔티어링 (Point-to-point Orienteering)
(가) 크로스 ․ 컨트리(Cross-country)
설치자가 설치한 통과지점을 순서대로 찾아 최단시간 내에 돌아오는 방식이다.
(나) 스코어 오리엔티어링 (Score Orienteering)
제한된 시간내에 가능한 한 많은 통과지점을 돌아 그 통과지점들에게 부여된 점수를 합산 비교하는 방식
(3)기타의 방식
- 운송수단에 의한 분류 : 도보오리엔티어링, 구보오리엔티어링, 스키오리엔티어링, 자전거오리엔티어링, 자동차오리엔티어링, 카누오리엔티어링 등.
- 참가자에 의한 분류 : 개인오리엔티어링, 단체오리엔티어링, 개인적 단체오리엔티어링, 릴레이오리엔티어링, 가족오리엔티어링, 장애자오리엔티어링 등.
- 경기시간에 의한 분류 : 주간오리엔티어링, 야간오리엔티어링, 주야간오리엔티어링, 장기간오리엔티어링, 시즌오리엔티어링, 동계오리엔티어링 등.
- 경기지역에 의한 분류 : 구릉지오리엔티어링, 도시오리엔티어링, 산악오리엔티어링, 장거리오리엔티어링, 수면(水面)오리엔티어링 등.
- 통과지점 확인 방법에 의한 분류 : 펀치오리엔티어링, 스케치오리엔티어링, 업무수행오리엔티어링, 무전기오리엔티어링 등.
- 레이크리에이션오리엔티어링 : 미니오리엔티어링(Mini Orienteering, 트림오리엔티어링(Trim Orienteering)
라. 오리엔티어링 경기방법(크로스 컨트리의 경우)
지정된 순서지점에 따라 통과지점을 통과하되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결승지점에 골인하는 사람이 우승자가 되며, 통과지점(control point) 사이의 루트는 경기자가 자유로이 선택한다.
- 경기자는 집합지점에서 확인증(control card)을 지급받아, 거기에 이름 소속 등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다.
- 지정된 출발시간 3분전에 출발선에 나가 확인구역(Gate in)에 들어간다. 거기에서 확인증의 한쪽을 잘라서 제출한다.
- 앞사람이 출발함에 따라 계속 대기구역(Get ready), 준비구역(Get set) 으로 진행하며, 각 등급 별로 통과지점 설명서(Control description)와 코스가 그려져 있는 지도를 지급받는다.
- 자신의 출발신호와 함께 출발을 하여 제1통과지점을 향해 자유로운 루트선택을 하여 진행하며, 통과지점을 발견하면 통과지점 설명서에 나타난 통과지점 코드(Control code)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증에 펀치 한다,
- 계속하여 제2, 제3통과지점으로 진행한다.
- 결승지점에 도착한 후 확인증을 본부에 제출한다.
마. 코스 부호(Course symble)
코스부호는 표준지도 위에 붉은색으로 표시되거나 지도에 덧인쇄되어 있다.
- 출발지점 : 한변이 7mm인 정삼각형으로 한꼭지점이 제1통과지점 을 향하게 그려진다.
- 통과지점 : 직경 5~6mm 의 원으로 표시되며 출발점과 각 통과지점 및 결승점 사이는 직선으로 연결된다. 통과지점의 통과 순서는 원밖의 남쪽지점에 지형지물이 가려지지 않게 숫자로 기입된다.
- 결승지점 : 직경 5mm 와 7mm의 동심원으로 표시된다.
바. 통과지점 설비
통과지점 마크는 30×30cm의 정사각형을 연결한 삼각주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사각형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대각선 분활하여 밑부분은 짙은 오렌지색, 위쪽은 백색으로 되어있다. 거기에 각 통과지점의 코드를 검은색으로 2개의 문자나 30~99 숫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통과를 확인하는 펀치가 달려 있다.
사. 통과지점 설명서
지도상에 나타난 직경 5mm ~6mm의 통과지점 내부에 더욱더 정확한 통과지점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설명을 하여주는 것이 통과지점 설명서 이다. 여기에는 통과지점의 통과순서, 코드번호, 통과지점 마크의 위치를 짧은 말로 기록한다. 국제적인 경기에서는 이 설명서가 국제 규정에 의한 부호로 표현된다.